보이스피싱 신고전화 및 피싱사기 유형 알아보기

Posted by Rollping
2017. 10. 22. 09:00 롤핑's 지식


보이스피싱 신고전화 및 

피싱사기 유형 알아보기




보이스피싱, 피싱사기... 정말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죠? 예전에 보이스피싱하면 납치사기전화, 어눌한 말투 이런걸 생각하게 됬는데, 요즘은 정말 한국어도 유창하고, 기관을 사칭해서 정말 그럴싸하게 속이더라구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사기 유형~ 가장 최선은 예방이지만 혹시나 보이스피싱 사기를 접했을때 신고방법을 미리 알고계셔야 할 거 같아서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됬어요. 보이스피싱 신고방법과 함께 피싱사기 유형에 대해서도 함께 적어보겠습니다~










'보이스피싱 지킴이'라는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위와같이 메인화면이 뜰텐데요, 대포통장 신고부터 피싱사기, 보이스피싱 등 피해신고와 예방법 등 관련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어요.







보이스피싱 신고전화는 은행과 관련기관에 전화를 해야하는데요, 지급정지 피해신고는 112, 피싱사이트 신고전화는 118, 피싱사기 피해상담 및 환급문의는 1332 번으로 전화를 하시면 되요.










각 은행 고객센터 전화번호도 나와있는데요,, 우리은행부터 신한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등등 시중은행 콜센터번호는 다 나와있는듯 합니다~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를 당하게 되면 바로 피해신고를 하고 지급정지 요청을 해서 2차, 3차 피해를 막아야하는데요, 빠르게 경찰철 112번에 전화하고, 은행 고객센터에 바로 연락하시고 어떻게 후속조치를 해야하는지 안내받으셔야 해요.










날이 갈수록 점점 영악해지는 보이스피싱... 유형도 예전에 비해 정말 다양하고, 깜빡하면 속을정도로 그럴싸하게 사기를 치기 때문에 스스로가 조심, 또 조심하는수 밖에 없어요. 요즘엔 대출이나 취업사기로 대포통장에 쓰거나, 서울중앙지검이나 검창, 경찰, 금융감독원, 은행 등을 사칭해서 사기를 치는 유형도 많습니다.










발빠르게 후속조치를 밟는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최선은 보이스피싱 예방인거 같아요. 모르는 번호는 항상 주의하시고, 아는 지인으로 카톡 메신저가 와도 의심스럽다 한다면 한번씩 확인을 정확히 하시는게 좋을 거 같습니다.